2025/01/07 5

TIL 81

Reactsrc 폴더의 App.jsx에 작성되는 내용이 웹사이트에 보일 내용이다. 리액트는 새로고침하지 않아도, 수정사항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웹사이트로 보여준다. 리액트의 아주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리액트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로, 웹페이지, 즉 html 파일이 하나밖에 없다. 하나의 웹페이지에 내용만 바꿔주기 때문에 새로고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리액트 전체 파일에 html 파일은 단 하나다. main.jsx는 index.html 파일과 App.jsx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html과 자바스크립트를 이어주는 것이다. App.jsx에서 원하는 작업을 해주면 된다. css를 적용하는 방법은 같다. 다만 class가 아닌 className으로 클래스 이름..

TIL 80

CSSCSS를 통해 HTML을 예쁘게 만들어줄 수 있다. CSS의 순서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스타일을 만든다. 스타일 이름을 정해주고, 스타일 내용도 작성한다.HTML 태그를 선택한다. 이 스타일을 어디에 적용할 지 HTML 태그들 중에 선택한다.CSS 스타일을 HTML 태그에 입혀준다. 선택한 HTML 태그에 CSS를 입혀주는 것이다.스타일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text-red 는 스타일의 이름이고, {} 부분은 스타일을 정의하는 부분이다. 즉, 내가 정의하고 싶은 스타일을 모두 {} 안에 작성해주면 된다. {} 안의 내용은 정의한 스타일 내용이다. 위 캡쳐본을 해석하면, 이 스타일을 적용한 html 태그의 글자색을 빨간색으로 하겠다는 것이다. color 이외에도 background..

TIL 79

사용자 입력 자료 레퍼런스화저번에 사용자가 txt, pdf, url을 업로드하면, 전처리나 크롤링 등의 과정을 거쳐 json 형식의 파일로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도 저장되게 했었다. 오전 팀 회의를 통해 여러 의견을 나누었고, json 파일로 따로 저장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베이스에만 저장하게 하기로 했다. 이전에는 아래의 함수를 통해 json 파일을 따로 로컬에 저장하게 했었다. def save_to_json(self, data, filename='user_input.json'): try: with open(filename, 'a', encoding='utf-8') as f: json.dump(data, f, ensure_ascii=Fal..

TIL 78

HTML가장 많이 쓰는 HTML 태그 6가지 태그\, 태그, 태그, 태그, 태그, 태그강의에서 사용한 웹사이트는 repl.it 이라는 사이트다. 이 웹 사이트는 코딩을 할 수 있는 웹사이트, 즉 온라인 코딩 툴 이다. VsCode 등과 같은 IDE를 깔지 않아도 코딩을 할 수 있다. 회원가입 후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며, Create Reple버튼을 눌러서 프로젝트를 만들기 시작할 수 있다. 언어로는 HTML, CSS, JS를 선택해주고, 프로젝트 제목을 지어준다.그러면 새로운 창이 뜨게 되는데, 왼쪽 부분은 파일들이 나타나고, 중간 부분에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문서이고, 오른쪽 부분은 결과물을 바로 볼 수 있는 웹사이트라고 할 수 있다. 이 웹사이트는 이미 살아있는 도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TIL 77

사용자 입력 자료 레퍼런스화 시키기사용자가 txt, pdf, url 등의 형태로 자료를 업로드하면, 그 내용을 읽어와서 챗봇이 그 내용을 참조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 필요했다.우선, 전처리와 url을 읽어오는 코드에 대해 저번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전처리 파일을 참고했다. 저번 프로젝트에서는 스파르타 강의 노션 url을 읽어와서 전처리 작업 후 txt 파일로 변환하는 코드를 작성했었다. 그 코드에서 전처리 부분과, 노션 url을 읽어오는 코드 부분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우선, 전처리 함수를 작성했다. 저번 프로젝트에서 작성했던 전처리 코드는 스파르타 강의 자료에 대한 전처리에 특화되어 있었다. 이번에는 어떤 url에서든지 전처리 함수를 적요할 수 있게, 포괄적으로 전처리함수를 작성했다.# 전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