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부트캠프/챕터4(12.05~12.27)

TIL 61

musukie 2024. 12. 13. 17:41

Django 프로젝트를 시작해보자. 프레임워크는 하나의 도구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 우리가 처음부터 개발을 한다면 아주 많은 것들을 만들어야 하지만,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만들면 조금만 만들어도 된다는 것이다.

 

VS Code에서 아래의 코드를 실행해서 Django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다.

django-admin startproject <프로젝트 이름> .

위의 코드를 터미널에서 실행하면 현재 폴더에서 바로 Django가 시작된다. 그러나 위의 코드에서 '.'을 제거하면, <프로젝트 이름>의 폴더가 생성되고, 그 폴더 안에서 시작하게 된다. 우리는 '.'을 제거한 코드를 실행시켜서, my_first_pjt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my_first_pjt 폴더 안에서 시작했다.

 

명령어를 실행하고 나면, 많은 파일들이 생겨나게 된다. 각각을 살펴보겠다.

  • settings.py
    우리의 프로젝트의 설정을 관리하는 곳이다. 우리가 가장 많이 다뤄볼 파일이라고 한다.
  • urls.py
    우리의 프로젝트에 어떤 요청을 처리할지 결정하는 곳이다. 우리가 어떤 요청을 할 지를 작성하게 될 것이다.
  • __init__.py
    __는 '던더'라고 부른다. 파이썬 3버전 이상부터는 없어도 되는 파일이라고 한다. 이 파일이 있는 폴더를 하나의 파이썬 패키지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의 파일이다. 그러나 호환성을 위해서 3버전 이하에서도 동작하도록 지금도 이 규칙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 wsgi.py
    wsgi는 '위즈기'라고 읽는다. 웹 서버 관련 설정 파일이다.
  • manage.py
    Django 프로젝트 유틸리티다. Django 프로젝트에 어떠한 역할, 즉 기능들을 할 때 이 파일을 이용해서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Django 프로젝트를 조종할 수 있는 조종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에서 settings.py와 urls.py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한다.

python manage.py runserver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실제로 서버를 실행하고, 실행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터미널 창에 http://127.0.0.1:8000/ 와 같은 링크가 나타나는데, 이 링크에 접속하면 된다.

'AI 부트캠프 > 챕터4(12.05~12.27)'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62  (1) 2024.12.16
WIL 10  (1) 2024.12.13
TIL 60  (1) 2024.12.11
TIL 59  (0) 2024.12.10
WIL 9  (1)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