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부트캠프/챕터1(9.30~10.11)

TIL 9 인공지능을 위한 파이썬 복습

musukie 2024. 10. 11. 19:41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와 대화하는 방법이다. 파이썬은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다양한 IDE를 통해 프로그래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변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장 공간이다. 파이썬은 별도의 코드를 치지 않고 변수를 선언하고, 할당할 수 있다. 컴퓨터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연산자로는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대입 연산자, 비트 연산자, 멤버십 연산자, 식별 연산자 등이 있다.

 

데이터 타입숫자형(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문자형, 불리언이 있고, 컬렉션 자료형에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이 있다.

 

데이터 타입은 명시적 타입 변환암시적 타입 변환이 있다. 암시적 타입 변환은 Python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이다. 명시적 타입 변환은 프로그래머가 직접 타입 변환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식으로, int(), float(), str(), bool(), list(), tuple(), set() 함수 등이 있다.

 

제어문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명령문이고, 반복문은 특정 코드 블록을 여러 번 반복해서 실행하는 구조다. 제어문과 반복문을 결합하면 더 강력해진다.

 

조건문은 제어문 중 하나로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반복을 실행하는데, 기본적인 조건문인 if문과, if문이 실행되지 않았을 때 실행되는 구문인 else문, 여러 개의 조건을 순차적으로 검사할 때 사용하는 elif문 등이 있다. 조건문 안에는 또 다른 조건문을 사용할 수 있다.

 

반복문은 프로그램 내에서 동일한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구조다. 컬렉션을 기반으로 반복하는 for문, 조건을 기반으로 반복하는 while문, 반복문을 즉시 종료시키는 break문, 현재 반복을 건너뛰고 다음 반복을 이어나가는 continue문 등이 있다.


   강의 외부에서 추가로 알게된 내용

  • CATEGORY IN()

- 예시로 설명하면 아래 두 코드의 의미는 같다.

- CATEGORY IN()이 더 간결하고 읽기 쉬우며, 조건이 많을 수록 코드가 깔끔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WHERE category = '페퍼로니' OR category = '하와이안' OR category = '치즈'
WHERE category IN ('페퍼로니', '하와이안', '치즈')

 

  • 예약어

- RANK는 SQL의 예약어이기 때문에 별칭으로 사용할 수 없다.

- 헛갈릴 것 같은 SQL의 예약어 또 다른 예시로는 TABLE, NULL, EXISTS, ALL, MIN, MAX, AVG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