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부트캠프/챕터5(12.30~01.31)

TIL 73

musukie 2025. 1. 6. 22:32

Git 코드 컨벤션

우리 조의 git 코드 컨벤션을 정했다.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Fix: 이슈 수정
Design: CSS 등 사용자 UI 디자인 변경
!API CHANGE: 커다란 API 변경
!HOTFIX: 급하게 치명적인 버그를 고쳐야하는 경우
Style: 코드 포맷 변경, 세미 콜론 누락, 코드 수정이 없는 경우
Refactor: 프로덕션 코드 리팩토링 / 기능 개선
Comment: 필요한 주석 추가 및 변경
Docs: 문서를 수정한 경우
Test: 테스트 추가, 테스트 리팩토링(프로덕션 코드 변경 X)
Chore: 빌드 태스트 업데이트, 패키지 매니저를 설정하는 경우(프로덕션 코드 변경 X)
Rename: 파일 혹은 폴더명을 수정하거나 옮기는 작업만인 경우
Remove: 파일을 삭제하는 작업만 수행한 경우

 

PostgreSql

POSTGRES_NAME = "mydatabase"
POSTGRES_USER = "admin"
POSTGRES_HOST = "localhost"
POSTGRES_PASSWORD = "yourpassword"

각각에 해당하는 값을 넣어서 .env 파일에 작성해주었다.
각 변수에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위한 정보가 들어간다.

  • POSTGRES_NAME: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지정한다. 이 값은 연결하려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가 "mydatabase"라면 "mydatabase"로 설정한다.
  • POSTGRES_USER: PostgreSQL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을 지정한다. 보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설정한 사용자 이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이 "admin"이라면 "admin"으로 설정한다.
  • POSTGRES_HOST: PostgreSQL 서버가 실행되고 있는 호스트의 주소를 지정한다. 로컬 환경에서 실행 중이라면 보통 "localhost" 또는 "127.0.0.1"로 설정한다. 원격 서버에 연결하려면 해당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을 넣어야 한다.
  • POSTGRES_PASSWORD: PostgreSQL 사용자 계정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지정한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설정한 값이어야 한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아래 캡쳐본은 예시이다. 아래의 캡쳐본과 같이, 서버를 새로 만들 때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하면 된다.

 

'AI 부트캠프 > 챕터5(12.30~01.31)'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77  (0) 2025.01.07
TIL 76  (0) 2025.01.06
TIL 75  (0) 2025.01.06
TIL 74  (0) 2025.01.06
TIL 71  (0) 2025.01.02